안녕하세요 지식 free style 입니다
사람은 인생의 3분의 1을 잠만 잔다고 하죠.
그만큼 잠을 자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요.
밀린 업무를 한다든가, 벼락치기를 한다든가 그런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사람은 밤에 잠에 들어서 아침에 잠에서 깹니다.
가끔 가다 이유 모르게 잠에서 깨어난 직후, 평소보다 유난히 피곤할 때가 있는데요.
이 것이 과연 잠이 부족해서 일까요?
음.. 수면시간이 적어도 개운할 때가 있죠. 단순히 컨디션 차이일까요?
피곤할 때의 이유가 뭔지 같이 알아보도록 합시다.
잠에서 깨어난 후 피곤한 것이 잠을 충분히 자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들 하시는데,
후에 억지로 일어나서 아침밥을 먹거나 하면 평소의 상태로 금방 돌아옵니다.
여기서 의문점이 하나 생기는데요.
잠을 충분히 자지 못했지만, 잠을 잤다면 자기 전보다는 피로가 더 풀려야 하지 않을까?
보통 성인의 수면 권장시간은 7시간~9시간이라고 하는데,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날에도 4시간~5시간은 잤을 겁니다.
수면시간이 부족하더라도 잠을 자기 전 상태보다 더 피곤하다는 것은 뭔가 이상합니다.
또, 학생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학교에서 너무 피곤하여 졸았다가 깨어날 때,
고작 20분 정도밖에 눈을 못 붙였지만 개운했던 경험이 있을 겁니다.
수면은 단순히 잔다-깬다 의 반복이 아닙니다.
수면에서는 5단계가 있는데요
1~4단계는 비렘수면이라고 하고
나머지 단계를 렘수면이라고 합니다.
수면의 5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약 90분~120분이 필요합니다.
권장 수면시간이 7~9시간이니까, 약 5~6번정도 이 수면의 단계를 반복하게 됩니다.
수면 1단계에서는 작은 소리에도 눈이 떠집니다.
1단계에서 5분정도가 지나면 2단계로 진입합니다.
2단계에 진입하게되면, 두 개의 뇌파를 확인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10~15분이 지나면 3단계로 넘어가는데,
3단계는 깊이 잠들었다는 첫 단계이고, 뇌파가 규칙적으로 변합니다
맥박과 호흡도 안정됩니다.
4단계는 숙면의 단계로 3~4단계에서는 잠에서 깨기 어렵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신진대사 활동이 감소, 신경전달물질을 재충전 해줍니다
또, 성장 호르몬과 여러 호르몬들을 분비합니다.
이 숙면의 단계는 매우 중요하죠.
일정시간이 흐르면 렘수면으로 진입합니다.
렘수면에서는 자율신경계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맥박, 혈압, 호흡, 체온 등이 상승합니다.
이때, 근육 긴장도는 최하 수준으로 감소하여 온몸의 근육이 풀어집니다.
보통 이 렘수면 상태에서 꿈을 꾸게 되는데요
꿈에도 역할이 있는게, 꿈은 활동시간 때의 정보들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해주고,
쌓인 감정들을 처리해줍니다.
근데 이런 수면의 단계는 우리가 일어날 시간에 맞춰서 유동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3단계, 4단계에서 알람이 울려서 깰 수도 있는데
여기서 문제가, 잠에서 깨기 힘든 수면의 단계에서 억지로 깨면 극심한 피로가 느껴지게 됩니다
수면 1단계, 2단계 중에서 깨는 것이 제일 좋은데요.
수면 1~2단계에서 깨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수면의 단계별 시간은 과학적으로 확인된 것이 있으므로 직접 계산이 가능합니다.
언제 잠을 자야 개운한지 계산해주는 사이트입니다.
그렇다고 1~2단계의 수면만 하면 안됩니다.
충분한 렘수면을 위해서 7~9시간정도를 자야하니까요.
렘수면이 부족하면 충분히 잠을 잤음에도 피곤하고,
렘수면이 너무 많아도 맥박, 호흡, 혈압, 체온 등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면서
몸이 피곤해질 수도 있습니다.
앞서 10분~20분 정도 잠을 잤음에도
숙면의 단계로 진입하기 전에 깼기 때문입니다.
만약 충분한 수면없이
10~20분 정도 낮잠을 자고 일어났다면
여전히 피곤했을 겁니다.
이상 지식 free style 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worldspeedwg.tistory.com/1105 사물궁이 잡학지식 님 블로그에서 참고했습니다.